
스포츠 재활운동 이해
스포츠 재활의 목적
- 회복 시간 단축
- 치유 속도 가속
- 손상부위의 부종 완화
- 현장 복귀 단축
※ 고려사항 : 적절한 재활시간 제공, 시합 결손 고려, 재활 순응도
운동 손상의 재활
- 구조 복원(structural recovery)
- 기능회복(functional recovery)
-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'구조의 복원'을 기본으로 '신체의 기능'을 회복 하는것
고정과 무사용의 부작용
- 근육 - 침상안정직후 바로 근육의 감소시작 4~6주 이내 매우 빠른 근질량과 근력(6~40%)감소
- 뼈 - 4개월간 침상안정시 하지의 골밀도 감소 연령이 높을수록 침상 안정 후 회복 어려움
- 인대&힘줄 - 횡단면적 감소 역학적·구조적 특성의 감소
- 소화기관 - 소화기관의 가동성 및 소화액 분비 감소로 인한 체액소실 및 변비, 회복속도감소
- 호흡기관 - 1회 호흡량 제한, 기능적 잔존량 감소, 호흡근 약화로 인한 분비물 배출능력 약화
- 심혈관계 - 혈장부피감소, 1회 박출량 감소 전반적인 혈류량감소와 점성도 증가(폐색전 등 이차질환발생률 증가)
- 근신경계 - 근육내 전기적 효율성 감소(신호량의 감소)로 인한 수의적 근수축력 감소
- 관절연골 - 연골기질의 생성감소로 인한 기능 감소(관절의 퇴행화)
- 피부 - 팽창(부종) 및 위축 피부의 약화로 인한 손상위험도 증가
- 대사 - 기초대사율 감소로 인한 상대적인 체지방 상승
- 비뇨기계 - 방광팽창, 뇨배출감각상실, 요정체, 감염, 사구체 여과율감소, 신장칼슘형성
운동 재활의 흐름도
- 상해/수술
상해 정도 파악, 수술여부 등의 처치방법 결정
- 염증/통증/부종 조절
물리치료, 약물치료, 보조기
- 관절가동범위운동
수동적, 능동보조, 능동적인 형태의 스트레칭
- 근력운동
등척성, 등장성, 등속성, 구심성, 편심성, OKC, CKC
- 기능적 운동
고유감각운동, 플라이오 메트릭 운동, 스포츠 특화 운동
- 스포츠활동 복귀
객관적인 복귀기준, 심폐지구력, 기타부위 운동 병행
재활운동 진행단계
- 초진방문 전문의 상담
- 기초체력검사 (평가) - SOAP
- 운동의 진행과정 중요성 상담
- Warm-up 10분 - 자전거타기, 가벼운 맨손체조
- 동적 스트레칭 & 관절가동범위 운동 - 5분
- 정적 스트레칭 - 2~3분
- 근지구력 & 근력 운동 - 20분
- 균형운동(밸런스 운동) - 5분
- 유산소 운동 - 20~30분
- 정적 스트레칭 - 5분
재활 운동시 이상 징후
- 종창 확대
- 통증 증가(밤에 더욱 심함)
- 체력감소 & 컨디션 감소
- 가동범위 감소
- 손상 인대의 이완성 증가
- 어떤 동작이나 이상증후 시 즉각적으로 담당 선생과 상의
재활 프로그램의 목표
- 정확한 응급처치와 손상 후 종창의 관리
- 통증의 감소 또는 최소화
- 관절 가동 범위의 회복
- 근력·지구력·파워의 회복
- 신경근 조절의 재설정
- 자세의 안정성과 균형 능력 항상
- 심폐기능 유지
운동 재활 모니터링 - 부종, 발열, 발적, 관절가동범위, 통증, 압통등 수시로 체크
재활 프로그램의 순서
- 제1기
손상 후 부종조절을 위한 기본적 응급치료(염증조절기)에는 부종제거를 위해 손상부위 주위를 압박, ICE 마사지, 전기치료, 소염제를 하거나 인대, 건막, 활액막, 관절에 국소스테로이드를 투여 한다.
- 제2기
통증조절기에는 근력강화 전, 후에 ICE를 하거나 소염제, 침을 놓고, 급성통증 시에는 TENS를 실시한다. 보호처치로는 테이핑, 패딩, 보조기, 밴드를 한다.
- 제3기
관절가동범위 회복기에는 근육경직과 연부조직 구축으로 관절운동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에 ICE, TENS, 초음파, 스트레칭, 마사지를 실시한다. 관절운동은 처음에 수동적으로 실시하여 관절가동범위가 정상범위에 도달하도록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능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한다.
- 제4기
근력 복원기는 초기에 근력의 75% 범위 내에서, 처음에 저속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방법으로 실시한다. 운동빈도는 최소 일주일에 3회 이상 실시하고, 적당한 속도로 무게를 증가, 감소시키며 실시한다. 등척성 운동은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실시 하며, 운동방법은 5~6초실시 후 10~20초 휴식을 가지며 10~20초 휴식을 가지며 10~12회를 반복한다. 그 외에 덤벨, 탄성고무밴드, 캠, 유니버셜, 에르고메터, 수중운동 등의 등장성 운동과 등속성 운동을 실시한다.
- 제5기
근지구력 향상기에는 유산소운동으로 실시하되 피로감을 느낄 때까지 빠르고 낮은 저항성 운동으로 반복 실시한다. 중간에 1분 정도의 등척성 운동을 병행하며, 에르고메터, 수중운동, 스테퍼 등의 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.
- 제6기
스포츠기술 훈련기에 신경생리학적 운동을 통해 협동기술을 익히고, 운동방법은 단계적으로 간단한 것에서 점차 복잡한 것으로 주의집중을 하여 적은 힘으로 천천히 많은 반복을 필요로 한다. 이 때에는 운동에 대한 잠재적인 기억형성이 중요하며, 민첩한 훈련이 포함되어 폐쇄역학적 운동과 플라이오메트릭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.
- 제7기
심폐지구력 향상기에는 초기에 수영을 실시한 후, 수중에서 달리기 운동 또는 고정식자전거 운동으로 시작하고, 운동빈도는 하루에 30분 씩, 주3~5회 실시한다.
- 제8기
기능적 회복기에는 특정한 스포츠로 복귀를 위해 유연성, 근력 그리고 심폐능력과 같은 일련의 점진적인 훈련을 실시하여, 기술 습득과 스포츠 복귀에 대한 완전한 자신감을 회복했는지 살펴본다.